독서기간 : 19. 5. 7. ~ 10.

 

10대 초반 나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줬던 책은 다른 나라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준 나의 첫 교양서, 이원복 교수님의 ‘먼나라 이웃나라’였다. 편한 그림체와 직접 독자에게 이야기해주는 형식의 만화였기 때문에 수업을 듣고 있다는 거부감 없이 쉽게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. 사회, 역사 시간에 배운 내용들이 모두 이 책에서 미리 읽어본 내용들이었기 때문에 수월하게 수업을 들을 수 있었다.

 

이원복 교수님이 쓰고 그린 다른 책들도 참 재미있게 읽었다. 그런데 왜 <신의 나라 인간의 나라> 시리즈는 이렇게 늦게 읽었는지 모르겠다. 특히 '철학의 세계편'은 10년 전에 미리 접해서 읽어봤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. 큰 틀을 잡아놓고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면 더 쉬웠을 거다. 4년에 거쳐 철학을 공부했는데도 제대로 정리가 안됐었다. 이 책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가 된 기분이다. 이 책은 시간의 순서에 따라서 고대 그리스 부터 현대철학까지 서양철학을 부록 포함 250페이지가 조금 넘는 만화책에 담아 당연히 심도 있는 내용보다는 간단한 (그러면서도 꽤 디테일한) 내용들로 구성이 되어있다.

 

이원복 교수님의 만화책들이 편향적이고 주관적이고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평이 있다. 꽤 많은 분야를 다루니 당연하다고 생각한다. 세계사와 사회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배우며 이원복 교수님의 만화책에서 읽었던 것과는 다른것들이 많았다. 나도 이원복 교수님의 일부 주장에는 동의를 할 수 없었다. 일왕을 고유명사로 ‘덴노’라고 불러주자 등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편은 읽으면서 고개를 갸우뚱 거리게 한 부분이 많았다. 1997년 그린 만화로 떠나는 21세기 미래여행은 재밌었지만, 많은 예상들이 빗나갔다.

 

이 책들의 의의는 역사, 철학, 종교 등 어렵다고 느낄 수 있는 주제들로 들어가는 진입장벽을 확 낮춰준데 있다고 생각한다. A라는 시각으로 a라는 주제에 대해 배웠더라도 나중에 다른 교육을 통해서, 다른사람과의 토론을 통해서 그 시각은 바뀔 수 있음을 경험을 통해 배웠다. 다양한 관점에서 전문적으로 한 주제를 배울 수 있으면 좋겠지만, 그건 먼저 그 주제에 흥미를 가진 후의 일이라고 생각한다.

 

나중에 아이가 생기면 먼나라 이웃나라와 신의나라 인간나라 시리즈는 꼭 읽으라고 권해볼거다. 내가 어렸을 때 이 만화들을 통해서 세계사와 사회에 대해 쉽게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. 물론 내 아이가 생겼을때는 더 좋은 교양서 혹은 콘텐츠가 나와있을 것 같다. 내 아이가 세계사, 사회, 철학에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. 그리고 이 주제들에 대해 편협한 시각을 갖지 않았으면 좋겠다. 나부터 노력해야겠다.

Posted by 종현JH